CHA미디어

유튜브

착상 전 유전진단(PGT),
배아에 영향은 없나요?



착상 전 유전진단
필요한 경우와 방법


착상 전 유전진단(Preimplantation Genetic Testing, PGT)은 시험관아기 시술로 수정된 배아를 자궁에 이식하기 전 염색체나 유전자를 검사해 정상 배아를 선별, 이식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임신 10주 이내에 발생한 자연 유산은 염색체 이상으로 인한 경우가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합니다. 임신을 시도하는 부부가 유전 질환을 이미 앓고 있거나 보인자인 경우, 또는 염색체 이상이 있다면 비정상 염색체를 가진 배아가 만들어질 가능성이 높아 착상 전 유전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검사를 위해선 우선 과배란 유도를 통해 다수의 난자를 채취하고, 정자와 체외수정 시켜 수정란을 만듭니다. 이후 5일 배양한 뒤 배아에서 태반이 될 영양외배엽 세포를 소량 떼어내 DNA를 증폭시킨 뒤 염색체 또는 유전자를 확인해 건강한 배아만을 자궁에 이식하게 됩니다. 또 임신이 된 이후에도 반드시 양수 검사를 시행, 태아가 건강한 지 확인해야 합니다.

착상 전 유전진단 종류는?




현재 착상 전 유전진단 종류에는 PGT-A, PGT-SR, PGT-M 총 세 가지가 있습니다.

PGT-A는 염색체의 수적 이상을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40세 이상의 고령이거나, 부부 모두 정상이지만 반복적인 착상 실패나 유산을 겪은 경우 시행합니다. 이 외에도 염색체 수적 이상을 가진 태아를 임신한 경험이 있거나, 남편이 희소 정자증인 경우에도 시행할 수 있습니다.

PGT-SR은 염색체의 구조적 이상을 선별하는 검사입니다. 부부 중 한 명이라도 염색체에 구조적 이상, 즉 염색체에서 전좌, 역위, 중복, 결실이 있는 경우 시행합니다. 염색체의 구조적 이상은 겉으로 보이는 뚜렷한 증상이 없어 자신에게 이상이 있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PGT-M은 배아의 단일 유전 질환을 진단하는 검사입니다. 부부 중 특정 유전자 이상이 있거나 혈우병, 근위축증, 헌팅턴병 등 보건복지부에서 지정한 198개의 유전 질환이 있는 경우 검사를 진행합니다.

배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나요?




검사를 위해 배아에서 세포를 떼어내면 배아에 악영향을 미치지는 않는지 우려하는 분들이 많은데, 걱정할 필요 없습니다. 배아는 태아가 되는 부분과 태반이 되는 부분으로 구분돼 분화됩니다. 검사를 위해 떼어내는 세포는 추후 태반이 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배아나 태아의 발달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답니다.

선생님의 한 마디




염색체 이상을 가진 태아를 임신한 경험이 있거나 가족 내 유전 질환이 있는 분들은 “임신이 돼도 두렵고, 항상 깜깜한 터널 속에 있는 것 같아요.”라고 표현하곤 합니다. 이 경우 착상 전 유전진단이 희망이 될 수 있으니 주치의와 충분히 상담하고 결정해서, 임신부터 출산까지의 시간들이 행복으로 가득 찼으면 좋겠습니다.

도움말 및 문의 박지은 교수 강남차병원 여성의학연구소
강남차병원 여성의학연구소 홈페이지 | http://chaimc.chamc.co.kr/ 강남차병원 여성의학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chamkter 강남차병원 여성의학연구소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 | http://pf.kakao.com/_yxnxbju

차병원 웹진 구독신청

이메일 등록만으로 차병원 웹진
구독 신청이 가능합니다.
네이버 메일은 제외한
다른 메일을 권장합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동의
1. 차병원 웹진 뉴스레터 발송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귀하의 개인정보를 수집, 이용합니다.
- 수집 목적 : 차병원 웹진 소식 이메일 발송
- 수집 항목 : 이메일
- 수집 방법 : 홈페이지의 ‘정기 구독신청’을 통한 직접 입력
- 보유 기간 : 뉴스레터 수신을 거부하거나 철회의사를 밝힌 경우 해당 개인정보는 즉시 파기됩니다.
- 귀하는 위와 관련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나, 필수정보 수집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 뉴스레터 발송을 신청할 수 없습니다.

2. 차병원 웹진 뉴스레터 발송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귀하의 개인정보 처리를 위탁합니다.
- 수탁자 : (주)차케어스
-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뉴스레터 발송 및 발송을 위한 시스템 개발/유지보수
- 위탁 기간 : 위탁계약 종료 혹은 뉴스레터 발송 서비스 종료 시점까지

Top

Prev